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

행복심리학(Positive Psychology)

by REBECCA-TAS 2025. 2. 9.
반응형

 

행복심리학(Positive Psychology)

 

행복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은 인간의 강점, 긍정적인 정서, 의미 있는 삶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입니다.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이 창시한 이론으로, 행복을 증진하는 과학적 방법과 실천적 접근법을 강조합니다.

 

행복심리학의 주요 이론

 

PERMA 모델 (마틴 셀리그만)

P (Positive Emotion, 긍정적 감정): 기쁨, 감사, 희망 등의 감정을 자주 경험하는 것이 행복에 기여합니다.

E (Engagement, 몰입): 어떤 활동에 완전히 집중하고 몰입하는 상태(Flow)가 행복을 증가시킵니다.

R (Relationships, 관계): 건강한 인간관계는 행복의 핵심 요소입니다.

M (Meaning, 의미): 삶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 깊은 만족감을 줍니다.

A (Accomplishment, 성취): 목표를 이루고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행복을 높입니다.

 

 

행복의 3가지 요소 (소냐 류보머스키, Sonja Lyubomirsky)

유전적 요인 (50%): 타고난 기질이 행복의 절반을 결정합니다.

환경적 요인 (10%): 돈, 직업, 건강 등 외부 환경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의도적 활동 (40%): 감사하기, 명상, 운동 등 습관을 통해 행복을 키울 수 있습니다.

 

행복을 위한 실천 방법

 

감사 일기 쓰기

매일 감사한 일을 3가지씩 기록하면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합니다.

 

사회적 관계 강화

친구, 가족과의 친밀한 관계는 행복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현재에 집중하기 (마음챙김, Mindfulness)

명상, 호흡 조절 등을 통해 현재 순간에 집중하면 스트레스가 줄고 행복감이 증가합니다.

 

운동과 건강한 생활습관

규칙적인 운동은 뇌의 행복 호르몬(도파민, 세로토닌)을 증가시킵니다.

 

의미 있는 목표 설정

돈이나 명예보다 ‘가치 있는 삶’을 목표로 하면 더 깊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유명 대학 교수들의 명언

 

 

 

 

마틴 셀리그만 (Martin Seligman,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심리학 교수)

“행복은 운명이 아니라 기술이다.”

→ 행복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연습을 통해 키울 수 있습니다.

 

소냐 류보머스키 (Sonja Lyubomirsky, 캘리포니아 대학교 심리학 교수)

“우리가 하는 작은 선택들이 우리의 행복을 결정한다.”

→ 일상의 작은 습관이 행복의 큰 차이를 만듭니다.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 프린스턴 대학교 심리학 교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돈이 행복을 사줄 수 있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효과가 없다.”

→ 돈은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하는 데 중요하지만, 더 많은 돈이 반드시 더 큰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탈 벤-샤하르 (Tal Ben-Shahar, 하버드 대학교 긍정심리학 교수)

“완벽해지려 하지 말고, 나아지려고 노력하라.”

→ 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불행을 초래하므로, 꾸준한 성장에 집중하는 것이 행복에 더 도움이 됩니다.

 

이런 이론과 실천 방법을 적용하면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인간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불교 – 석가모니  (0) 2025.03.01
아들러 철학이야기  (0) 2025.03.01
러버덕Rubber Duck의 유래  (0) 2025.01.31
인간관계를 잘하는 방법  (0) 2025.01.24